사이트맵
2024.12.27 17:37

풀고 갑시다

조회 수 1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풀고 갑시다

 

금년의 마지막 주일인 오늘, 사람마다 느끼는 마음은 다를 것입니다. 보람찬 한 해였든 실망스러운 한 해였든 2025년 새로운 한 해는 이유를 묻지 않고 우리 앞에 대기 중입니다. 2024년이 빨리 지났으면 하는 마음이 들 정도로 생각하고 싶지도 않든지 아니면 의미 있고 감사한 일이 가득해서 오래 지속되길 원하는 한 해이든 상관없이 새로운 한 해는 우리를 공감해 주지 않고 바통을 받을 준비를 마쳤습니다. 여러분에게 주어졌던 지나온 2024년도는 어떠했습니까?

 

우리의 마음이나 느낌과는 상관없이 다음 주일은 우리가 원하든 원치 않든 2025년 첫 주일을 맞이하게 될 것입니다. 솔직히 내년이 된다고 해서 달라지는 것은 크게 없을 겁니다. 여전히 우리는 치열한 삶의 현장에서 그간 해왔던 일을 하고 있을 겁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금년에 하던 일을 내년에도 계속할 것입니다. 저 역시 지난주에 하던 일을 이번 주에도 그대로 하면서 내년을 맞이할 것입니다.

 

새롭게 장만한 달력과 함께 다음 숫자로 넘어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상이며 새롭게 펼쳐진 2025년은 당연히 안겨야 할 우리에겐 열린 시간들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성도이기에 2024년도에서 2025년도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하나님 앞에서 새로운 의미와 결단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벗어야 할 것은 벗고 새롭게 입어야 할 것은 입어야 합니다. 버릴 것은 버리고 취할 것은 취해야 합니다. 이런 점에서 목사로서 여러분에게 금년을 그냥 보내지 말고 풀고 가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혹시 나도 모르게 꼬여 있는 부부간에 서운했던 일들, 누군가 용서하기 힘든 관계적 매듭이 단단히 묶여 있다면 풀고 가면 좋겠습니다. 불편한 마음을 내년에도 안고 간다는 것은 얼마나 비효율적이며 감정 낭비인지 모릅니다.

 

가끔씩 우리는 감정의 쓰레기통을 비워야 하는데 새로운 한 해가 되기 전에 비워야 합니다. 누군가로부터 마음이 불편했거나 상처를 주고 받았던 감정의 쓴 뿌리를 한 번 정도는 비울 필요가 있습니다. 계속 묵혀두면 나중에 고약한 냄새가 나고 재활용도 되지 않는 쓰레기가 될 수 있습니다. 감정도 묵히고 묵히다 보면 변색된 피부처럼 깊은 상처로 고착될 수 있습니다. 꼬인 관계가 있다면 관계의 매듭을 풀고 갑시다. 혹시 나의 말 한 마디로 누군가 아프고 힘들다는 것을 안다면 찾아가 위로하고 때론 먼저 용서를 구합시다. 그래야 감정의 묵은 찌꺼기가 벗겨져 멋지게 새로운 한 해를 출발할 수 있습니다. 나와 가까이 있다는 이유로 더 많이 아팠을 가족이나 혹은 목장 가족들에게 관계의 매듭을 풀고 갑시다. 그리고 이 일을 위해서는 먼저 용서를 구하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2024년도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하나님께만 용서를 구하지 말고 사람에게도 용서를 구하면서 얽혀진 관계의 매듭을 풀기 바랍니다. 그래서 2025년에는 더 이해하고 더 사랑하는 관계로 나아가시길 축복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 (부분) 리모델링을 마치면서 admin 2025.03.07 73
223 2020년을 마무리하며 admin 2021.01.02 351
222 3040 세대가 모이는 교회의 특징 admin 2024.06.21 218
221 3개월 연구 월을 준비하면서 admin 2025.05.16 38
220 6층 ‘목양실’ 명칭을 ‘목회연구실’로 바꿨습니다. admin 2023.06.10 384
219 9.8 해운대성령대집회 참석 후기 admin 2024.09.13 160
218 VIP를 작정하는 일에 함께 마음을 모읍시다 admin 2025.01.18 77
217 VIP를 정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 admin 2024.02.02 178
216 VIP와 함께하는 행복 사역들 admin 2024.05.03 157
215 ‘다움’을 잃어버린 교회 (대상 21:9-17) admin 2021.02.24 352
214 ‘다움’을 잃지 않는다면 admin 2020.12.08 328
213 ‘다움’을 회복하는 교회 (대상 21:18-27) admin 2021.03.02 337
212 ‘목사’에 대한 의존은 낮추고 ‘목자’에 대한 의존은 높이고 admin 2023.09.01 205
211 ‘시니어 생명의 삶’을 개강하는 이유 admin 2023.08.18 192
210 “9.8 해운대성령대집회”에 전 세대의 참석을 권하며 admin 2024.08.30 148
209 「세겹줄 기도회」가 의미 있는 이유 admin 2025.02.14 123
208 故 김태진 집사님을 보내며 file admin 2024.02.08 165
207 故 박성수 집사를 기억하며 file admin 2024.09.20 157
206 가정교회 1일 특강을 마치며 admin 2025.03.21 63
205 가정교회 목회자 컨퍼런스에 참석할 때마다 느끼는 감동 admin 2024.06.01 19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