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조회 수 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가정교회 세 축은 성도의 삶에 적용되어야 합니다

 

대연중앙교회 성도라면 누구나 가정교회 세 축에 대해 이해하고 있을 것입니다. ‘목장모임주일연합예배그리고 삶공부라는 세 축이 담임목사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함께 균형을 갖출 때 건강한 교회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교회는 이 세 축이 교회 사역에 잘 스며들고 접목되도록 힘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이 오해하는 것 중에 하나는 교회의 세 축은 나와 상관 없이 교회 공동체의 사역에만 잘 자리 잡고 있으면 된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세 축의 개념을 나에게 적용하지 않고 교회 사역으로만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대단히 잘못된 생각입니다. 내가 제외되고 나를 포함하지 않는 교회란 있을 수 없고 있어서는 안 되는 것처럼 가정교회 세 축은 대연중앙교회 사역에 접목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나에게도 적용되고 실천되어야 합니다. 건강한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세 축이 교회 사역에 균형을 갖춰야 하는 것처럼 건강한 성도가 되기 위해서는 세 축이 나의 신앙생활에도 잘 적용되어야 합니다. 우리의 삶에 삶공부()와 목장모임(), 주일연합예배()라는 지정의(知情意)가 균형을 잘 잡아야 합니다.

 

건강한 신앙생활을 위해서는 우리 모두 목장에 속하고 목장을 작은 교회로 섬길 수 있어야 합니다. 건강한 성도의 삶은 공동체성을 직접 경험하고 말씀을 실천할 장()을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말씀을 적용할 수 있고 적용된 삶을 나눌 수 있는 건강한 공동체가 필요한데 바로 목장 모임입니다.

 

또한 우리는 주일 연합예배를 통해 하나님을 경외하며 하나님의 임재와 나에게 말씀하시는 성령의 음성을 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 삼위 하나님을 향한 신앙고백과 온 맘을 다하여 드리는 찬양과 나를 깨우쳐 주시는 주의 말씀 앞에 결단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아무리 신앙생활에 열심을 낸다 해도 연합예배의 자리에 나아가지 않고서는 건강한 신앙생활을 한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삶공부가 중요합니다. 삶공부를 통해 하나님을 더 깊이 알고 말씀을 잘 이해하는 모습이 필요합니다. 우리 교회에서는 생명의 삶과 예수영접모임은 모든 성도가 수료해야 할 필수과정으로 삼습니다. 이것은 예수님을 통한 구원과 그 풍성한 삶에 대한 지혜를 얻는 과정입니다. 안타깝게도 우리 교회 중직자들의 삶공부 참여가 너무나 저조합니다. 항존직을 받으면 그것으로 신앙생활을 다 한 것처럼 행동한다면 그것은 영적 건강에 중요한 한 축을 잃어버리는 것과 같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여러분의 신앙생활에도 세 축이 실현되어야 건강한 신앙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교회의 사역으로서의 세 축의 개념을 떠나 성도의 삶으로 실현되는 세 축이 되어야 합니다. 이 일에 대연중앙교회 모든 성도님들이 동참하시길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 과함이 가져온 낙심 (왕상18:41~19:5) admin 2022.07.19 334
44 고난주간을 어떻게 보내시렵니까? admin 2024.03.22 214
43 고난주간 캠페인 file admin 2021.03.27 316
42 고난의 터널을 통과하여 부활의 영광으로 admin 2024.03.30 218
41 고난, 덕분입니다. (고후1:3-9) admin 2022.10.15 357
40 고난, 덕분입니다(고후1:3-9) admin 2021.07.24 387
39 고난, 덕분입니다 admin 2020.07.28 453
38 걸어온 길, 걸어갈 길 (신1:28-33) admin 2021.07.08 488
37 건강한 교회, 행복한 성도 admin 2021.07.13 369
36 거짓에 맞서는 신앙 (골 2:11~23) admin 2022.10.21 389
35 개혁, 안주할 수 없습니다. (삼하 5:4-10) admin 2021.11.02 410
34 개척 목장은 어떠신가요? admin 2024.04.19 163
33 감사합니다. 존경합니다. admin 2020.11.03 434
32 감사의 비결 (빌 4:10~20) admin 2022.07.19 530
31 감사의 반대말은 ‘당연함’입니다. admin 2020.11.11 651
30 감사는 신앙고백입니다. admin 2020.07.04 452
29 감사가 마르지 않는 삶 admin 2023.11.10 236
28 감사 DNA로 사는 성도(맥추감사주일을 앞두고) admin 2024.06.28 173
27 가족전도 합시다! admin 2021.05.09 505
26 가정의 달 5월이면 늘 송구한 마음이 듭니다. admin 2023.05.07 462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 사이트맵